일요일, 3월 26, 2023

피드백

순서대로 차분히 고민한다고 하여도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판단이 항상 옳은 결정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를테면 형태계획의 과정에서 창호디자인이나 심지어는 평면계획까지도 수정이 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설계과정에서 앞서 결정한 내용을 수정하고 번복하는 일을 피드백(feed-back)이라고 하는데, 이 역시도 설계의 과정이다.

누군들 앞서 내린 결정을 번복하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한번 하나의 결정을 번복하면 그 이후의 일들이 도미노처럼 재검토해야 할 일들이 일어난다. 잘 짜여지고 고민을 많이 한 계획일수록 오히려 계획의 번복은 수정해야 할 일들이 많아진다. 침대의 위치가 맘에 안든다고 바꾸었을 뿐인데, 나중에 보니 콘센트가 침대에 가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런 사소한 변경이 아닌 현관 출입구의 위치가 동향이 좋다고 해서 바꾸려고 하니, 화장실, 거실의 위치까지도 다 다시 계획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래서 피드백은 신중해야 한다.

피드백은 지나온 과정에 대한 반성의 시간이다. 그래서 가급적 피드백은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는 게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지나온 과정이 절실하게 후회된다면 과감하게 설계를 다시 한다는 마음으로 돌아가야한다. 어쩔 수 없다. 그리고 일단 피드백을 결심했다면 대충 눈에 들어오는 아쉬움만 봐서는 안된다. 분명 관련된 수정내용들이 있다는 생각으로 검토를 해야한다.

건축사에 따라서는 피드백의 과정에 추가설계비용을 요구할 수도 있다. 그만큼 업무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사를 하면서 후회하는 것보다는 설계의 과정에서 피드백을 하는 것이 옳은 일이다. 피드백을 하면서 자책하지 마시라. 그나마 일이 커지기 전에 돌아갈 수 있다면 그게 후회를 줄이는 길이다.

처음부터 피드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도 피드백을 줄이기 위해서는 계획을 할 때 내가 왜 이런 계획을 하게 되었는지 이유를 기억하는 것이 좋다. 왜 침대를 이쪽으로 두었는지, 왜 현관의 위치를 이곳으로 하였는지, 왜 화장실을 저곳에 두었는지 합당한 이유를 기억해둔다면 피드백을 할 시점에 즉흥적인 실수를 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물론 미리 피드백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해서는 안 될 것이다. 계획의 과정을 번복한다는 것은 상당히 복잡한 후속과정이 연결된 일이다. 특히 계획과정에서는 피드백이 보통 용납이 되지만, 일단 도면화 작업이 시작되고 나면 피드백은 매우 신중 해야한다. 게다가 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계획할 때 처럼 쉽게 판단을 번복했다가는 망치를 던지고 현장을 떠나는 인부를 붙잡고 달래야 할지도 모른다. (현장에서 인부를 달랠때는 돈이 들어간다.)

피드백은 아주 부득이할 때 해야하는 수정의 과정이지, 언제든지 해도 좋다는 의미가 아니다.

Previous article
Next article
RELATED ARTICLES

최근글

A2204_연대마을

2301: 화북

건축사를 만나러 간다.

건축사

마음속의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