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3월 26, 2023

2015_양성필_흑백

반갑습니다

양성필건축사입니다.

세상에는 많은 집들이 있지만 집을 짓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세상에 핑계없는 무덤이 어디 있느냐는 말이 있듯이 집 역시 그렇게 많지만 사연없이 편안하게 지어지는 집을 찾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만큼 집을 지으려는 결심을 한다는 것은 인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기결정 중 하나입니다.
아키제주에서는 그러한 건축주의 고민을 덜어줄 수 있는 좋은 조력자가 되고자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건축사만의 재능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건축주와 건축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시공자까지 합심해야 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그러한 과정의 첫 단추로서 건축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잘 인지하고 있습니다.
좋은 집을 짓기위한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양  성 필

중앙대학교 건축과 및 동 대학원 졸, 건축공학석사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철학석사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학 박사과정 수료

논문및 저술활동

_, 무속신화의 구조분석을 통한 한국전통주거건축의 공간조직의 이해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학위논문,1996.
_, 이상사회에서 본 맹자와 순자의 철학, 제주대학교 철학석사학위논문, 2004.
_, ‘주생활편’,”하도리와 덕수리”,국립중앙박물관, 2007.
_, 신화와건축공간, 생각나눔, 2012.
_, 집과건축, 밥북, 2014.
_, ‘길과마을의 생활사’,”제주생활문화100년”,제주문화원,2014.
_, ‘제주건축사사’,”제주건축4집”, 제주특별자치도도건축사회, 2015.
_,’2000년이후의 제주건축’,”제주건축”,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2016.
_,’ 서귀포매일시장 도시생활사연구’,”서귀포시민백서”,서귀포시,2017.
_,’솔동산의 주생활’,”서귀포시민백서”,서귀포시,2018.
_,’ 주생활’,”일도동역사문화지”,제주문화원,2018.
-,’길과집’,”한경면생활문화지”,제주문화원,2019.
공저.”제주건축단상”,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2020.
_,’집의변천’,”봉개동역사문화지”,제주문화원연합회,2021.
_,’집,길,지명’,”장전리생활문화지”,제주문화원,2021.
제주대학교 건축학과 공동연구, “성이시돌목장 테쉬폰주택 생활문화조사”,제주학연구센터, 2020.

사회참여활동

서귀포 도시건축포럼 부위원장 : 2017-현재.
건축가협회 청소년건축학교 교장, 201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건축연구위원회 위원장, 2019-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