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집을 지어보려고 생각하는 순간 너무나도 많은 고민을 하게됩니다.
건축설계과정
건축과 관련한 생각들을 적어봅니다.
건축사를 만나러 간다.
일생을 살아가면서 가족과 함께 할 집을 직접 지어보겠다고 결심하는 순간이 몇 번이나 올까? 자수성가(自手成家)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에게 집을 짓는다는 것은 일생에서 매우 큰 의미가...
건축사
필자의 직업은 건축사이다. 건축사는 건축주를 도와서 건축물을 구상하고 도면으로 표현하는 일을 주업무로 하는 사람이다. 아마 누구든지 한가지의 직업에 20년 이상 종사하였다면 그 분야에서는 전문가라고...
마음속의 집
사람들은 의뢰만 하면 자신이 원하는 집을 건축사가 알아서 해주기를 바랄지도 모른다. 하지만 점쟁이도 아닌 건축사가 건축주의 마음에 쏙 드는 그런 집을 알아서 설계할 수는...
건축사와의 대화를 위한 준비
이제 건축사를 만나면 무엇을 물어봐야 할지 고민해야 할 때이다. 그런데 건축사를 만나보면 질문을 하기보다는 훨씬 많은 질문을 받게 될지도 모른다. 어떤 공간과 어떤 색깔을...
기본용어
대화는 그 자체가 중요한 설계방법이다. 하지만 집에 관하여 대화를 하는 데에도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 살림집을 주제로 대화를 하기 위해서는 건축면적, 바닥면적과 같은 건축법과 관련한...
건축이 가능하려면
어떤 땅이든 집을 짓기 위해서는 반드시 도로에 접해야 한다. 도로에 접하지 않은 땅을 맹지라고 하는 데 맹지에는 건축을 할 수 없다. 땅이 도로에 접해야...
건축물의 용도
모든 건축물에는 용도가 있다. 건축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용도를 미리 지정하게 되어있으며 토지가 속한 지역에 따라 용도를 제한받기도 한다. 주변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건축물의...
건폐율과 용적률
재력이 된다고 해서 건축물을 무한정 크게 지을 수는 없다. 건축물의 규모를 제한하는 것은 도시환경을 적정하게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다. 건축물의 규모를 제한하는 가장 기본적인...
공간의 크기
공간을 구상할 때 주변에 있는 사물들의 치수를 재어보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 평소에 늘 보는 사물들도 막상 공간을 구상하려고 하면 그 크기를 정확히 알고...
생각과 표현
일상에서 늘 경험하는 살림집의 경우에 사람들은 ‘집 정도야 나도 설계할 수 있지.’라고 쉽게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막상 직접 해보면 고려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많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