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3월 26, 2023
Home건축설계과정건축사를 만나러 간다.

건축사를 만나러 간다.

일생을 살아가면서 가족과 함께 할 집을 직접 지어보겠다고 결심하는 순간이 몇 번이나 올까? 자수성가(自手成家)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에게 집을 짓는다는 것은 일생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는 사건이다. 게다가 살아가는 공간이 도시화 되면서 부동산의 가격이 오르고 단독주택을 지어서 산다는 것이 점점 어렵게만 느껴진다. 아마 내 마음에 드는 단독주택을 지어서 살아보자는 결심을 하게 되는 일이 일생에 한번 있을까말까 할 것이다. 그만큼 대단하고 가슴 설레이는 일이기도 하다.

집을 짓겠다고 결심하기까지 혼자 고민하는 시간도 적지 않았을 것이고 가족회의도 여러 번 하였을 것이다. 아마 주변에 집을 지어보았다는 친구들이나 친척에게 자문을 구해보기도 하였을 것이다. 어쩌면 동네목수라는 분을 혹은 인테리어 하신다는 분을 만나서 의논해보았을지도 모른다. 그러고나서는 생각보다 돈이 많이 든다는 생각에 모자란 자금을 구하기 위해 은행 문턱을 들락날락 거렸을지도 모른다.

대개는 그러는 과정을 거치고 나서 집을 지어도 좋을지 어떨지를 확인하려고 최종적으로 찾아보는 사람이 건축사이다. 필자는 직업이 건축사이다. 우스갯소리지만 그래서 필자는 집을 짓기 위해서 건축사를 찾아가본적은 없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는 건축사가 무엇하는 사람인지를 사람들이 짐작은 하고 있을까하는 생각을 해보기도 한다. 필자가 생각하는 건축사와 집을 지으려는 예비건축주가 생각하는 건축사가 종종 다르게 느껴질 때가 있다.

아직까지도 종종 상담하면서 듣는 이야기가 집을 짓지는 않느냐는 질문이다. 건축사는 집을 짓지는 않고 그리기만 한다. 정작 건축주가 원하는 것은 그림이 아니라 실제 지어진 집을 원하는 것이다. 건축사가 그려주지 않아도 집이 지어진다면 굳이 건축사의 도면이 건축주에게는 필요한 것이 아니다.

이럴 때 건축사는 뭐라고 해야 할까? 도면 없이는 집을 지을 수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 아, 정말 그럴까? 그건 그냥 건축사라는 직업을 지키기 위한 변명이 아닐까? 도면 없이도 집을 짓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림만 그리는 건축사는 집을 짓는데 왜 필요할까?

RELATED ARTICLES

최근글

A2204_연대마을

2301: 화북

건축사

마음속의 집

기본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