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3월 26, 2023
Home건축설계과정개성을 찾아라

개성을 찾아라

지구상에는 수십억의 사람들이 살고 있지만 모두가 다른 모습으로 살아간다. 사람마다 개성이 다르듯이 사람마다 어울리는 살림집이 같을 수는 없을 것이다. 자기만의 독특한 공간을 갖는 살림집을 구상하는 것은 똑같은 공간에서 살아가는 아파트에서는 느낄 수 없는 매력을 가질 수 있다는 기대를 하게한다.

자신에게 어울리는 특별한 공간에 대해 건축사와 토론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필요하다. 건축사들은 사용함에 불편함이 없는 일반적인 공간구성에 대해서는 경험을 통해 이미 숙지하고 있다. 살림집을 설계함에 있어서 건축사가 추가적으로 알아야 할 것은 건축주의 개성과 관련된 것이다. 그 점에 대해서 건축주는 스스로 고민하고 건축사와 대화를 시도해야한다.

건축주마다 개성이 있듯이 건축사들도 개성이 있다. 건축사들도 제각기 선호하는 디자인 패턴이 있고 선호하는 재료가 있을 수 있다. 건축사가 어떤 디자인을 선호하는지를 알고 있는 것은 앞으로의 디자인을 협의하는데 도움이 된다. 인터넷이나 주변에서 여러 가지 마음에 드는 디자인을 수집하여 건축사에게 보여주는 것보다 당신 앞에 있는 건축사의 디자인중에서 맘에 들었던 디자인이 있었다면 그것을 가지고 디자인 토론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독특한 아이디어는 순간적으로 떠오른다. 설계과정에 중간중간에 떠오르는 아이디어와 같은 것은 다소 엉뚱하다는 생각이 들어도 그것을 건축사와 수다를 떨 듯이 대화하는 것도 좋겠다. 그러한 대화는 설계순서와 관계없이 이야기를 나누어도 좋을 것이다. 그러는 가운데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하면서 독특한 자신만의 개성이 녹아있는 특별함이 솟아날 수도 있다.

나의 집에는 다른 집과 좀 다른 게 있어야 하지 않을까? 나만의 독특함을 갖고자 하는 그것은 정당한 욕심이다. 물론 여기에 정말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지나침은 결코 모자람만 못하다. 이유 없이 소위 튀기위한 지나침은 현대건축의 디자인에서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독특하게 보이겠다는 이유만으로 괜히 집을 빨간색으로 하고 싶다던가 강아지모양으로 하겠다던가 하는 것은 디자인이 아니다. 개성은 정제된 가운데에서 기존의 질서 안에서 이루어지는 게 좋겠다. 말하고 나니 좀 어렵다.

자신만의 개성있는 집을 원한다며 일방적으로 요구하기보다는 개성있는 집을 주제로 건축사와 토론을 해보시기를 권한다. 좋은 집은 이런 대화가 쌓여서 완성이 되는 것이다. (물론 말하고 나서도 걱정된다. 대부분 개성있는 집을 눈에 띄는 별스러운 디자인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다. 그럴 때 유럽의 고대도시를 상상해보라. 비슷한 집으로 가득하지만 개성이 없는게 아니다. 튀는 것은 개성이 아니라 기형이 될 수가 있다.)

Previous article
Next article
RELATED ARTICLES

최근글

A2204_연대마을

2301: 화북

건축사를 만나러 간다.

건축사

마음속의 집